오버헤드 크레인의 주요 구조에서 주거더와 단부 대차는 분리할 수 없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정밀한 연결과 조화로운 기능을 통해 이 두 부품은 장비의 하중을 공동으로 지지하며 작동 중 발생하는 하중을 전달함으로써 적재 작업 시 안정적이고 안전한 운행을 보장합니다. 다음은 구조적 연결과 기능 분할 측면에서 그 밀접한 관계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구조 연결: 정밀한 결합이 장비의 "지지 프레임"을 형성합니다.
1. 연결 방법 및 정위치: 엔드 카리지는 메인 거더 양끝에 위치하며, 플랜지(F)를 통해 메인 거더 끝단과 정밀하게 도킹(docked)됩니다. 맞대응하는 플랜지는 메인 거더 양끝에 용접되어 있습니다. 엔드 빔 양끝의 플랜지가 메인 거더 플랜지와 맞물린 후, 고강도 볼트로 체결됩니다. 연결 과정에서는 플랜지 평면도와 볼트 체결력이 엄격하게 관리되어, 조임면이 틈이 없이 밀착되도록 하며 하중이 작용할 때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수직 하중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운용 충격에도 견디며, 메인 거더와 엔드 카리지 사이에 일체화된 하중 지지 구조를 형성합니다.
2. 구조적 보완성: 메인빔(Main Beam)은 일반적으로 박스형 또는 I형 구조로, 종방향 하중 지지 능력에 중점을 두며 지브 기구와 리프팅 하중을 지지합니다. 엔드카리지(End Carriages)는 박스형 또는 단순화된 구조입니다. 메인빔과 연결되는 것 외에도 휠 어셈블리 마운팅 홀(Wheel Assembly Mounting Holes)이 웹(Web)에 가공되어 휠 기구의 휠을 장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보완적인 구조 설계는 '종방향 하중 지지 및 횡방향 이동'이라는 기능 통합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강성 연결을 통해 전체 구조의 비틀림 저항성과 횡방향 굽힘 저항성을 향상시켜 운전 중 프레임 변형을 방지합니다.
기능 분할: 장비 '운전 및 하중 지지'를 위한 협력적 지원
1. 주보: 핵심 하중 지지 및 트롤리 지지대: 주보는 장비의 '종방향 하중지지 핵심'으로서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째, 트롤리 메커니즘의 중량을 직접 지지하여 주보 레일을 따라 트롤리가 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합니다. 둘째, 리프팅 하중의 수직 압력을 견디며, 자체 구조 강도를 통해 해당 하중을 양쪽 끝의 엔드카리지(end carriages)로 전달합니다. 주보의 하중 지지 능력은 장비의 최대 리프팅 용량과 운전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엔드카리지: 수평 연결 및 갠트리 구동: 엔드카리지는 장비의 '측면 연결 및 이동 허브'로서 다음의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째, 주빔(Main Beam)과 갠트리 메커니즘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주빔을 통해 수직 하중(장비 자체의 중량 및 후행 하중 포함)을 균일하게 휠 어셈블리에 전달하여 공장 트랙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합니다. 둘째, 갠트리 메커니즘의 구동 장치(예: 모터 및 감속기)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휠을 구동함으로써 장비 전체가 공장 트랙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광범위한 리프팅 범위를 가능하게 합니다.
기능적 시너지: 리프팅 작업 중에 호이스팅 장치가 들어올린 하중은 트롤리를 통해 메인 빔으로 전달됩니다. 이후 메인 빔이 양단의 엔드 캐리지로 하중을 분산시키며, 엔드 캐리지는 메인 빔으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개더리 메커니즘을 통해 메인 빔과 트롤리를 동기화하여 이동시켜 하중의 종방향 운반을 실현합니다. 트롤리의 메인 빔을 따라 수평 이동과 개더리의 레일을 따라 종방향 이동이 결합되어 결국 하중의 정밀한 3차원 취급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메인 빔 하중 지지 + 엔드빔 구동"의 기능적 시너지는 효율적인 오버헤드 크레인 작동의 핵심 원리입니다.
2025-09-12
2025-09-05
2025-08-28
2025-08-22
2025-08-15
2025-07-30